직장생활

[회계] 기초지식 일반전표와 매입매출전표 차이

o_o okayyy 2024. 3. 21. 10:55

회계 업무의 기초지식인 일반전표와 매앱매출전표 차이를 설명해 드릴까 합니다.

 

처음 접하게 되면 전표 구분이 왜 필요한지, 입력 시 전표 입력 시 헷갈리는 경우가 있습니다.

일반전표와 매입매출전표 두가지를 구분하여 차이점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.

전표입력

 

전표작성은 결산을 하기 위한 바탕자료이고, 일반전표입력과 매입매출전표입력 두 가지로 나뉩니다.

매입매출로 구분하는 목적은 부가가치세 신고를 쉽게 하기 위해서 구분하고,

매입세액 불공제, 세금계산서 등 증빙자료가 없는 경우, 금전적 거래만 이루어진 경우 일반전표에 입력합니다.

 

쉽게 설명드리자면 세금계산서 등 증빙자료 유무에 따라 나뉘는 데 있으면 매입매출전표, 없으면 일반전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

 

1. 매입매출전표

▶ 부가세 신고 목적 자료를 입력합니다. 입력 시 공급가액과 부가세, 공급대가 금액이 맞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.

▶ 입력시 유의사항이 있다면 유형에 맞춰서 입력하셔야 합니다.

    보통 일반법인사업자의 경우엔 11. 매출과세 / 51. 매입과세 / 카드 유형을 많이 입력하고 있습니다.

    그 외 항목들은 아래 이미지 확인 해주시면 됩니다.

▶ 법인카드 부가가치세 공제 항목, 홈텍스에 발행되는 건들은 매입매출전표에 입력합니다.

매입매출전표 유형

2. 일반전표

▶ 앞서 말씀드렸듯이 일반 거래나, 증빙이 없는 경우 입력합니다.

▶ 법인카드 부가가치세 불공제 항목의 경우 일반전표에 입력합니다.

▼ 아래 블로그 4. 매입세액 불공제 항목 보시면 법인카드 구분하기 쉬우실 거예요. 참고 부탁드립니다.

https://okayyy.tistory.com/2

 

[위하고 실무] 자료불러오기 및 전표 복사·이동 방법

위하고(WEHAGO)는 자동 회계처리 기능이 있어 초보자에겐 쉽고 전문가에겐 편리한 입력 기능이 있습니다. 더존의 경우는 많이 쓰고, 정보들도 많지만 위하고 쓰는 기업들이 제 주변에는 많지 않아

okayyy.tistory.com

 

※ 위 내용들 정리한 표예요. 이것만 보셔도 이해 쉬우실 거예요 😊

유형 구분 입력항목
세금계산서(과세, 영세)
& 계산서(면세)
증빙 있을경우 매입매출전표
증빙 없을경우 일반전표
현금영수증(사업자용 지출증빙) 증빙 있을경우 매입매출전표
증빙 없을경우 일반전표
법인카드(신용카드, 체크카드) 부가가치세 공제 매입매출전표
부가가치세 불공제 일반전표